[천지일보=백지원 기자] 안산 단원고 ‘기억교실’을 둘러싼 갈등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이 사용했던 교실.

그날의 참사를 잊지 말자는 의미에서 ‘기억교실’이라 불립니다.

2014년 11월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참사로 세상을 떠난 학생들의 명예졸업이 이뤄질 때까지 아이들이 공부하던 교실을 존치하겠다”.

하지만 아직까지 명예졸업식을 치르지 못했습니다.

세월호 선체도 인양되지 않았고 실종자도 다 돌아오지 못한 상황이어서 유족들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기억교실 철거도 유보됐습니다.

하지만 신입생 입학이 가까워오면서 교실을 둘러싼 갈등이 분출됐습니다.

10개 교실이 ‘기억교실’로 비워진 탓에 신입생·재학생이 사용할 교실이 부족해졌기 때문입니다.

“교실 내 집기 등을 교육청으로 옮겼다가 ‘4.16민주시민교육원’을 지어 이전, 복원하겠다”고 교육청이 대안을 제시했지만 4.16가족협의회와 시민단체는 기억교실 ‘존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존치를 주장하는 입장
“다시는 같은 비극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보존해야”
“참사의 진상, 실종자 파악 등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아이들 흔적먼저 지울 수 없어”
“아직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과 선생님이 있는데 교실 정리할 수 없어”

-이전을 주장하는 입장
“신입생·재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정리해야”
“학교는 희생된 학생들만 다녔던 곳이 아니라 다른 많은 학생이 학업을 이어가는 곳”
“재학생들이 우울감과 죄책감 등으로 정상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

‘기억교실’을 재학생들에게 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재학생 학부모들이 지난 16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행사를 무산시키는 일도 발생했습니다.

재학생 학부모 측은 3월 2일 입학식 전까지 교실 존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학교 폐쇄’ 등도 불사하겠다고 최후통첩까지 한 상황.

2년 가까이 흘렀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 남아 있는 세월호 참사의 흔적과 아픔.

모두를 안을 수 있는 현명한 해법 없을까요?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