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계황(동국대 행정대학원 교수) 한국역사영토재단 대표. ⓒ천지일보(뉴스천지)

“간도협약은 무효… 외교권으로 영토 매매 불가능”
정부 반환노력 전무… “영토 문제에 관심조차 없어”
“간도는 우리땅” ‘잠재적 영토관’ 확산 중요성 강조
“중국 분열시 조선족 병합 위해 지금부터 지원해야”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한국역사영토재단 장계황(동국대 행정대학원 교수) 대표는 중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간도 땅을 반드시 되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 

간도는 우리나라 외교권을 빼앗은 일본이 1909년 9월 4일 청나라와 간도협약을 맺어 철도 부설권과 광산 채굴권 등 각종 이권의 대가로 부당하게 넘겨준 땅이다. 

지난 8일 기자와 만난 장 대표는 “간도협약은 무효”라며 “을사늑약은 외교권을 박탈한 것인데, 외교권으로 남의 나라 영토를 매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그는 간도가 협약의 대상이 된 것 자체가 우리 땅이라는 명백한 근거로 본다. 그런데 간도협약은 국제법상 무효이기 때문에 당연히 간도 역시 우리에게 귀속돼야 한다는 것이다. 

“간도협약을 맺으면서 정한 땅 경계가 압록강, 두만강인데 그날부터 거기까지가 우리 영토가 됐다. 해방 이후 남북한으로 분리되다 보니 우리는 그 지도를 우리 영토로 인식하고 있다.”

◆영토 문제에 무관심한 정부

현실이 이런데도 간도를 되찾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나 사회적 논의는 전무한 상태. 황 대표는 “국가 지도자와 정부가 영토 의식은커녕 영토 문제에 대해 관심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중국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2017년 신년사에서 “영토 주권과 해양 권익을 결연히 수호할 것”이라고 선언했고,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독도와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댜오) 영유권 문제를 적극 제기하면서 이웃국가와의 갈등도 불사하고 있다. 국가 지도자가 영토 지키기에 몸을 던지고 있는 다른 나라 사례를 설명하는 그의 탄식이 길어졌다. 

“영토 문제는 우리가 아니라 후세 문제다. 정치인들이 후세 문제에 일절 관심이 없고 오늘의 정쟁에만 몰두하고 있다. 미래를 보는 안목이 없으니 심각해도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간도 ‘잠재적 영토관’부터 세워야

장 대표는 간도를 되찾기 위한 첫 단계로 ‘잠재적 영토관’의 확산을 강조한다. 잠재적 영토관이란 현재 실효적으로 지배하지 못하지만, 과거에 우리 영토였고, 미래에 찾을 수 있는 영토를 말한다. 그는 “우리가 가진 잠재적 영토관은 압록강과 두만강까지가 경계선”이라며 “이것이 얼마나 큰 비극인가. 간도가 우리 땅이라는 의식을 갖지 못하면 그 영토는 찾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장 대표는 잠재적 영토관의 사례로 포틀랜드 전쟁과 일본을 들었다.

“포틀랜드는 아주 과거 아르헨티나 영토였지만, 국제법상 영국 영토다. 그런데 아르헨티나는 아이들에게 포틀랜드가 자기 영토라고 가르쳤고, 아이들이 정치 지도자가 된 50년 후 전쟁을 일으켜 그 땅을 빼앗았다. 영국이 다시 빼앗기 위해 일으킨 게 포틀랜드 전쟁이다.”

또한 일본이 어린 초등학생들에게 독도 영유권을 가르치는 것 자체가 그들 속에 잠재적 영토관을 주입시키는 행위라는 게 장 대표의 설명이다. 

◆두만강·압록강에 머문 영토관

이에 반해 지금 우리 국민의 잠재적 영토관은 북한의 압록강과 두만강 경계까지로 머물고 있다. 일반 국민에게 한반도를 그리라고 하면 대부분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한 지도를 그리는 게 그 증거.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 이미 간도가 없다는 것이다. 이래 가지고는 간도를 되찾을 가능성이 아예 없다는 게 장 대표의 지적이다. 그는 시민단체 활동이나 역사교과서 등을 통해 아이들에게 간도가 우리 땅이라는 의식을 심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장 대표는 “우리 역사책에 간도를 소개하는 내용만 두 페이지에 불과하다”며 “간도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사가 서술돼야 하는데, 그걸 빼버리니 간도를 우리나라 영토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시민단체, 학술단체 적극 지원해야”

간도는 그러나 이른바 ‘G2’로 불리는 초강대국인 중국이 지배하고 있다. 정부로서는 외교, 경제적 마찰을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만 해도 중국의 보복 조치를 호되게 당하고 있지 않은가. 장 대표는 이에 대해 “정부가 지금 중국에 대고 영유권을 선언하라는 것이 아니다”라며 “정부로서는 관련 학술단체가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분위기와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단체가 정부를 대신해 간도 영유권을 외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술단체는 이들 시민단체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간도 지역에 사는 조선족들에 대한 지원을 중요한 과제로 꼽는다. 그들이 문화적으로 우리와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간도 회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분열이 기회… “지금부터 준비해야”

그렇다면 장 대표가 간도 반환의 현실성을 높게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의 분열 가능성 때문이다. 그는 “전 세계는 종교와 민족, 언어와 빈부격차 등 4개 단위로 끊임없이 분리, 분열되고 있다”고 했다. 러시아와 15개 나라로 분열된 소련이나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된 체코슬로바키아를 그 사례로 꼽았다. 중국 역시 역사적으로 보면 분열과 통일을 반복해 왔는데, 지금 시점에선 분열기에 들어섰다는 것. 반환된 홍콩이 중국에 합쳐지지 못하는 것이나, 신장 위구르와 티베트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분리 독립 운동을 그 조짐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뤄져 있고, 그중 모국이 있는 민족은 몽고족과 조선족이다. 국가가 분열되면 모국이 있는 나라는 모국에 가려 한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간도가 잠재적 역사관에 의해 우리 땅이라고 인식할 때 되찾을 수 있다.”

장 대표는 영토 회복을 방해하는 식민사관에 대응하고, 간도와 대마도 등 영토 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한국역사영토재단을 이끌고 있다. 올해 1월엔 간도 영토화를 위한 ‘간도임시정부회복위원회’ 발족에도 참여하는 등 간도 영유권 문제 공론화에 앞장서고 있다. 영토를 연구하는 학자로서 대한민국 땅이 침탈되는 현실을 두고만 볼 수 없다는 양심에 따른 것이다. 장 대표는 뜻을 함께하는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간도와 대마도 등 영유권에 관한 논문을 민족사관에 근거해 다수 발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간도까지 표시된 지도 보급 운동도 펼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