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가 공식 집계한 청년실업률은 9.8%로 10명 중 1명꼴이다. 그러나 취업을 포기한 청년들까지 포함하면 30%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 대학을 졸업한 취업준비생 대부분은 수천만원에 달하는 학자금대출도 껴안고 있다. 졸업과 동시에 빚쟁이가 되면서 주변의 눈치와 죄책감으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취업준비생 눈치를 보는 가족들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다. 그간 대선 총선 때마다 청년일자리 정책은 후보들의 주요 공약이었지만 현실은 바뀌지 않았다.

이번 19대 대선 후보들도 청년일자리 정책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지만 막상 청년들은 별 기대를 하지 않고 있다. 최근 한 시민단체가 20~30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공공일자리 81만개 창출’ 공약이나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5년간 취업한 모든 청년 대기업 임금의 80% 수준 보장’ 공약을 대표적인 허세공약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기존 일자리에 집어넣기식 정책인데다 지속가능성도 빈약하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일자리 창출 정책이 아니란 의미다.

그래서 청년들은 오히려 최저 시급 1만원 등에 더 관심을 갖는다. 어차피 알바를 면할 수 없다면 알바비라도 제대로 받아서 생계유지는 하고 싶다는 것이다. 시급 1만원이 되면 주40시간 근무 시 월 320만원으로 웬만한 정규직 사원 못지않은 월급을 벌 수 있게 된다. 물론 최저임금이 올라가면 물가상승, 고용인원 감축 등으로 인해 새로운 실업 문제가 양산될 수 있다. 그래서 청년일자리 정책은 다면적으로 검토돼야 하고 더불어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영국은 디자인과 창조문화산업을 융합한 청년스타트업을 육성해 청년일자리 창출에 성공했다.

중국도 다양한 청년 스타트업을 국가 차원에서 육성하고 있다. 무엇보다 13억이 넘는 인구를 보유한 중국에서 청년 일자리 문제는 우리나라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청년일자리 정책도 단순 지원만 해선 세금만 퍼주고 끝나게 된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 지속 가능하면서도 근본적인 청년일자리 마련을 위해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한다.

1일은 근로자의 날이다. 모든 청춘들이 일자리 걱정 없이 원하는 곳에서 일하고 타당한 보상을 받으며 열심히 일한 뒤 휴식의 달콤함도 느끼는 그날이 속히 도래하길 바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