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8~10만 서울서 경기로 이주
고학력·전문직 서울 통근 많아
통근 어려우면 저임금·경력단절 가능성 커

[천지일보 경기=강은주 기자] 경기도 인구가 2017년 3월 1310만명대로 진입한 가운데, 인구이동에 따른 일자리 지원과 통근지원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최근 5년간 인구이동 패턴과 유형을 분석하고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수도권 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분석을 실시한 ‘수도권 인구이동 요인과 고용구조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서울에서 타 시도로 이동한 인구를 살펴보면 2005년 5만 1000여명, 2010년에는 2배 규모인 11만 5000여명, 2015년 13만 7000여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년 8만~10만명이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 이후 대단위 주택단지가 개발되고 있는 남양주, 파주, 고양, 성남, 김포 등으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구이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통근현상을 분석한 결과, 타 시도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인구는 약 121만명이며 이 중 경기도민이 86.6%(약 100만명)에 달했다.

서울로 통근하는 경기도민의 학력별 분포는 대부분의 시군에서 대졸자의 비중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용인 수지·기흥, 성남 분당, 수원 영통, 과천시는 전체 서울 통근자의 80%이상이 대졸 이상의 학력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로 통근하는 경기도민의 직업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중이 29.7%로 가장 높았고 사무종사자 24.9%, 판매 종사직이 13.6%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단순노무직은 5.8%, 서비스 종사자는 6.6%로 나타났다.

고학력 및 전문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경기도내 대도시권에 거주하며 서울로 통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저임금·저숙련 일자리에 종사하는 근로자와 기혼 여성 근로자들은 상대적으로 거주지 근처로 근무지를 한정시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최석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통근이 어려운 근로자는 거주지 근처에서 저임금과 저숙련 일자리를 구할 가능성이 있다”며 “기혼 여성들은 가사와 육아 문제로 거주지 근처에서 일자리 찾고 싶지만 본인이 원하는 임금 수준과 직업지위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경력단절을 경험하거나 저임금·저숙련 일자리로 하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위원은 인구 이동에 따른 고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 이주자들의 일자리와 통근 지원 정책 강화, 기혼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족 양립을 지원해 경력단절을 최소화하고 근로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