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관용 경상북도지사가 2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제공: 경북도청)

“중앙과의 끊임없는 교감… 지역의 일 국정과제로 반영”

[천지일보 경북=장덕수 기자] 김관용 경상북도지사가 2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선6기 3년 성과와 향후 도정방향을 밝혔다.

김 지사는 “도민만 바라보고 도민과 함께 달려온 시간 동안 미래 경북 100년의 성장판을 구체화하는 알찬 결실을 봤다”고 말문을 열었다.

김 지사가 꼽은 핵심성과는 도청 이전과 한반도 허리 경제권이다.

그는 “도청 이전으로 경북이 변방에서 국토의 중심으로 도약했고 신도청, 동해안발전본부 이전, 혁신도시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한 도내 균형발전의 틀을 완성했다”며 “경북이 주도한 한반도 허리경제권을 통해 기존 수도권·남북 중심의 국가발전 중심축을 동서축으로 전환해 국토균형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도내 균형발전의 토대위에 시군별 특성과 자산을 활용한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이를 구체화해 권역별 거점을 조성한 것도 성과다.

북부권은 바이오·백신산업, 동해안권은 에너지클러스터와 가속기 기반 신약 개발, 서부권은 탄소와 스마트기기, 남부권은 화장품, 항공군수산업 등 권역별로 신성장 엔진을 장착시키고 새로운 경제지도를 완성했다.

이런 성과는 달라진 경북의 지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7년을 기준으로 국가예산은 11년 전에 비해 5.6배가 증가한 11조 8천억원을 확보했고, GRDP는 32조원이 증가한 95조원을 기록했으며, 산업단지도 64개소나 증가한 157개를 조성해 경북의 외연이 비약적으로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날 김 지사는 향후 도정방향에 긴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연방제 수준의 분권, 탈원전 정책이 가시화되고 있고, 고령화·농촌 공동화로 지방소멸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으며, 제4차 산업혁명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돼 경북은 패러다임의 대전환기에 놓여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도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경북의 미래는 없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향후 1년은 300만 도민의 지혜와 저력을 모아 미래 경북 발전의 초석이 될 기반을 마련하는데 도정을 집중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향후 도정의 최우선은 김 지사가 줄곧 강조해온 일자리 창출이다.

그는 “경북의 특성을 살린 돌봄치유 농장, 도시청년 시골 파견제 등 경북형 일자리 시책의 성공된 모습을 현장에서 확인하고 전국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미 경북도는 도와 시군의 일자리 추진체계를 개편하고, 1천억원 규모의 일자리 추경 준비에 착수하는 한편 도내 30개 공공기관에 주4일 근무제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전국 지자체 중 일자리 창출에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김 지사는 “무엇보다 좋은 일자리 창출의 주역은 민간기업인 만큼 해외유턴기업지원법 제정을 정부에 건의하는 한편 해외진출 국내기업이 돌아와 투자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은 거스를 수 없는 대변혁이며 가보지 못했던 길이지만 경북경제 재도약의 기회로 삼겠다”고 포부를 밝히고 경북형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도 내놓았다.

경북도는 세계 유일의 3대 가속기, 스마트팩토리 발상지로서의 노하우, 철강·전자 등 우리나라 산업화를 견인한 경험 등 경북이 비교우위에 있는 강점을 십분 활용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스마트팩토리 육성을 통한 제조 혁신, 첨단 가속기 기반 신약바이오 개발, 탄소·타이타늄·경량 알루미늄 등 3대 경량소재 벨트를 구축해 제4차 산업혁명을 경북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집중 육성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한반도 허리 경제권 등 새로운 광역협력의 틀을 통한 발전전략은 한층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지사는 “그간의 수도권 중심 성장전략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는 유물”이라고 비판하고, “국가 발전의 패러다임을 기존 수도권·남북 중심에서 동서축 중심으로 완전히 바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최근 김 지사가 회장으로 추대된 중부권 정책협의회의 역할을 강화하는 한편 동서 연계 SOC사업 등 시도 간 협력 프로젝트를 개발해 한반도 허리 경제권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권역별 중심축을 완성해 도내 균형발전에도 노력한다. 도청 이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역 균형발전의 새로운 틀을 마련한 경북도는 도청신도시에 유관기관·단체 유치 확대, 기업유치 등을 통해 북부권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 사업의 완성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도 경북 동해안에 첨단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타운과 원자력 연구기관 유치를 약속해 기대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국내 원전 최대 현장인 경북 동해안을 원전의 안전, 평화적 이용 및 해체에 중점을 둔 국제 원자력 안전·연구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 아래 원전의 평화적 이용과 해체기술 연구의 중심인 제2원자력연구원을 경북으로 유치하는 데 힘을 쏟을 예정이다.

이미 도는 최근 국정기획자문위 등에 제2원자력연구원의 경북 유치 당위성을 주장하는 등 국정과제 채택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울러 청정자연자원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를 육성하고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조성에 노력해 동해안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완성한다는 것이 경북도의 복안이다.

김 지사가 오랜 시간 공들여온 지방분권도 마지막 고삐를 끝까지 죄어나간다.

지난번 대통령과 시도지사 간담회 때 대통령이 연방제 수준의 지방분권 실현을 약속한 만큼, 내년 6월 개헌 국민투표 시까지 자치조직, 재정 등 지방의 권한을 대폭 확대할 수 있도록 민관 거버넌스, 시도지사협의체 등과 지방 공동전선을 구축해 분권형 개헌을 주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관용 도지사는 “지난 11년 오로지 앞만 보고 쉼 없이 달려왔다. 수많은 아픔과 어려움 있었지만 경북인의 저력으로 극복하고 발전의 틀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