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 체감실업률은 21.5%를 기록했다. 우리 청년들 5명 가운데 1명은 직업이 없다는 뜻이다. 일반적인 청년 실업률 지표를 종합해 보면 지금 청년들의 취업 시장 한파는 1997년 IMF사태 이후 가장 심각하다. 특히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는 청년들의 하소연을 듣노라면 눈물이 날 지경이다. 어쩌다가 우리 청년들을 이토록 가혹하게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는지 할 말을 잃을 지경이다.

최근 정부가 경찰과 소방관을 비롯해 사회복지 요원 등의 공공부문 일자리 정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크다고 본다. 물론 바람직한 방향은 아니지만 공공부문의 필요 인력을 확충시킴으로써 청년층 취업률 제고의 물꼬를 틀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참에 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경예산안이 제대로 집행됐는지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자칫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구조라면 이것부터 바꿔야 할 것이다.

바로 이런 시점에 국정감사를 통해 불거진 일부 기업의 취업 특혜 의혹은 많은 국민을 분노케 한다. 특히 수십장의 취업 서류를 써대며 동분서주하는 우리 청년들에겐 분노를 넘어 절망케 하는 행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강원랜드의 취업비리 의혹 실태를 보면 말문이 막힐 정도이다. 국회의원과 일부 유력 인사들의 자녀 및 지인들이 대거 특혜로 취업했다는 것은 우리 청년들에게 비수를 꽂는 행위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어찌 이럴 수가 있다는 말인가. 그야말로 세계적인 뉴스거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뿐이 아니다. 정부가 가장 큰 지분을 갖고 있던 우리은행의 취업특혜 의혹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해 신입사원 공채에서 이른바 VIP 고객이나 금감원, 국정원 직원 등 고위 인사들의 자녀들이나 지인들이 특혜로 취업했다는 얘기이다. 우리 사회가 이 정도로 부패하고 타락했는지 충격을 금할 수 없다. 특히 감독기관인 금감원 간부들이 거론되고 심지어 국정원 직원들까지 가담했다는 사실은 참담함 그 자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더 걱정되는 것은 과연 이런 행태가 강원랜드와 우리은행에서만 그랬을까 하는 점이다. 앞으로 국정감사 등을 통해 더 밝혀지겠지만 이번 기회에 공공부문은 물론이요 민간부문들까지 취업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밝혀야 할 것이다. 우리 청년들을 더욱 절망케 하는 취입비리는 어떤 경우에도 용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미 드러난 강원랜드와 우리은행의 경우에도 ‘특혜 합격자’는 응분의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요, 비리에 가담했던 당사자들은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할 것이다. 법이 허용하는 최대의 잣대로 그 주범들을 발본색원 하겠다는 자세로 접근해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 사회를 아프게 했던 이른바 ‘헬조선’의 절망을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