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산 미 공군기지에서는 ‘국빈방문’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도착과 동시에 21발의 예포가 발사됐고 환영행사가 있었다. 이는 동맹국 미국 대통령에 대한 국빈 격에 걸맞은 최상의 예우를 갖춘 행사였다. 이후 트럼프 미 대통령은 주한미군 기지인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하고 서울로 이동해 문재인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을 가졌다. 미국 대통령의 국빈방문은 1992년 조지 H.W. 부시 대통령 방한 이후 25년 만의 일로 특히 북한의 핵 도발로 한반도 정세가 불안한 시기에 한국에서 이뤄진 한미정상회담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동맹관계는 전통적으로 돈독하다. 지난 54년 7월 30일 이승만 당시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후 지난정부 때까지 모두 62차례 정상회담이 개최됐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도 이번이 세 번째인 만큼 그간 다진 양국 간 동맹이나 개인적 신뢰를 바탕으로 공조해야 할 현안에 대해 의견을 개진한 것은 잘한 일이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틀 전, 미일 정상 회동 후에 초강경 대북 경고발언을 한 바 있고, 방한(訪韓)한 자리에서도 그 같은 입장을 고수했다. 거듭된 경고발언은 북한이 더 이상 핵 도발을 하지 못하도록 미국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국제사회가 주시하고 있는 한반도 상황의 안정화를 위한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도 트럼프 미 대통령의 강경 기조와 일맥상통한다. 기본적 전략은 북한이 핵 도발을 멈추고 대화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대북 압박인 것이다. 이같이 북한의 정책을 변경시키기 위한 한미정상 간 의견일치로 북한에 대응하는 전략적 문제의 큰 흐름은 일단락됐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 사이에서 합의된 강력한 대북 공조는 한반도 위협을 봉쇄할 수 있는 장치로 작용될 것이다.

문제는 한미 간 경제적 현안이다. 일본 순방에서 경제문제를 북핵 대응과는 별도로 다루고, 미국의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했던 트럼프 미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이미 예상한 바대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등을 들고 나왔다. 한미정상회담에서 세부적이고 완전한 경제현안은 해결될 수가 없을 터, 이 문제 역시 오랫동안 동맹관계를 유지해온 한미 간 사정에 비춰 정리해나가야 한다. 지난 6월 한·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동맹을 ‘위대한 동맹’이라 언급한 그 기초 위에서 양국 간 경제현안 숙제풀기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