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세계 정상(頂上)들의 만남의 장인 국제회의가 부각되는 시대다. 각국 지도자들은 정상회담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확보하는 데 힘쓰고 있다. 20세기만 하더라도 세계사를 좌지우지했던 대국은 주로 미국, 영국, 구(舊) 소련 등 군사력이 강한 몇몇 나라에 불과했고, 그들에 의해 약소국들의 운명이 결정되곤 했지만 21세기에 들어서서는 군사력 외에 자원과 외교력이 중시되고 있는 것이다. 강대국뿐만 아니라 신흥국에서도 경제적 자원과 통상 부문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기 위해 국제회의에 참가해 자국의 이익을 도모하는 세상으로 변했다.

무엇보다 자원외교가 중요시 되다보니 석유, 철강석 등 자원 부유국들이 타국의 이목을 받기도 하는데, 이번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나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관련 정상회의가 열린 필리핀이나 베트남 등이 그런 경우다. 국제적 관심의 축이 아시아로 몰리고 있는 시대가 오고 있다. 새로이 다가서고 있는 신(新) 아시아 시대에 관심의 축은 여전히 한반도이며, 중국 경제력과 아시아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자연자원인 것이다.

그러한 시기에 우리 정부의 외교 방향이 변화를 맞고 있다. 지금까지는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등 4대강국 위주 외교를 통해 한반도의 안정화를 꾀하는 한편, 부족한 자원을 획득하고 수출 길을 넓혀 경장성장의 동력으로 삼아왔다. 하지만 4강에 한정해서는 더 이상 외연을 넓히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고 있는 문재인 정부에 들어와서 4대강국과의 외교를 유지하면서도 아시아의 자원 부유 국가들과 외교 협력을 강화하는 경제통상 외교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중심에 ‘신 남방정책’이 자리 잡고 있다. 일본이 베트남을 기반으로 해 아시아를 공략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인구(2억 6천만명)가 많고 각종 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를 외교통상적 거점으로 삼을 계획인 것이다. 이 나라를 기반으로 교통, 에너지, 수자원, 스마트 정보기술(IT) 4대 분야를 중점 협력해나가는 등 그 통상적 효과를 인근 아시아국가로 넓히는 계기로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신 남방정책이 성공을 거둬 국익 신장이 되기를 기대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