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석한 발표자와 토론자들. 김선미 디트뉴스24 편집위원이 좌장으로 나서 참석자를 소개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강수경 기자] 2012년 충남도청 이전 후 청사 건물과 부지활용방안을 놓고 그동안 전문가 위주로 논의 됐던 데에 지역 시민단체들의 의견이 더해지고 있다.

1일 대전문화연대 주최로 ‘충남도청 이전 터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의 주제로 지역 대학교수, 대전참여연대·대전발전연구원·대전충남민예총 등 시민단체와 시 담당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목원대 건축학부 김정동 교수에 따르면 충남도청사는 근현대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건물이다. 2002년 등록문화재 제18호로 등록된 충남도청사는 1932년도에 지어진 건물이다.

관공서 청사 중 시·도청 급으로 등록문화재가 된 것은 구 서울시청, 인천 중구청, 충북도청, 전남도청 회의실, 경남도청, 제주도청 등 6건이다. 당시 건축문화를 잘 들여다 볼 수 있는 충남도청은 1961년 3층 증축이 완료된 이후 현재까지 그대로의 모습이다.

김정동 교수는 “역사성이 배제된 도시에서 우리는 아무런 역사도 생각해 낼 수 없다”며 역사적인 의의를 강조했다.

이에 따라 도청사를 보존하면서 어떻게 활용해야 충남도청 이전 후 주변 공동화 현상까지도 막아낼 수 있느냐가 현재로서는 최대의 관건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문화예술 공간으로 활용해 경제적인 효과도 함께 노려야 한다는 데 입장을 함께 했다.

대전발전협의회 이창기 의장은 축사를 통해 충남도청사 건물을 활용해 교육박물관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한밭교육박물관의 3만 여 점에 달하는 자료를 전시하며 우리나라에 하나뿐인 교육박물관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또한 대학교가 연합해 학과를 충남도청 부지에 설치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중구문화예술의거리 상가번영회 장수현 회장은 대학 단과를 유치해야 한다는 데 입장을 함께 하며 부지비용해결에도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며 견해를 밝힌 바 있다.

시는 다소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부지비용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동안 어떠한 구체적인 방향을 잡기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1200억 원에 달하는 부지비용문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여론이다. 2009년 기준으로 대전시의 가용예산이 1300억 원이었다는 점을 볼 때 자체추진은 불가능하다.

대전시 문화예술과 김일토 과장은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국가주도의 사업시행 및 국립시설에 준하는 지원이 절실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도청 이전과 사례가 비슷한 옛 전남도청의 사례와 비교해 한은숙(전남대) 지리학 박사는 “광주 전남도청 이전 부지의 활용을 둘러싸고 발생한 갈등을 되돌아 볼 때 대전은 소통과 타협으로 갈등을 두려워하지 않는 도시가 되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김일토 과장은 “전남도청이 이전하며 겪었던 공동화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 시민공청회와 관계 전문가 세미나 등을 개최해 소통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시는 문화부 용역결과 제시안을 참고해 활용방안을 구체화해 충남도청사 부지를 ‘한밭문화예술 복합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한편, 1일 열린 토론회에는 대전문화연대 김선건 대표의 개회사에 이어 대전광역시발전협의회 이창기 의장이 축사를 전했다. 주제발표는 목원대 건축학과 김정동 교수와 한은숙 지리학 박사, 충남대 권선정 연구교수와 대전광역시 문화예술과 김일토 과장이 발제자로 나섰다.

토론자로는 한남대 건축학부 한필원 교수, 대전참여연대 금홍섭 사무처장, 대전발전연구원 김흥태 연구위원, 대전충남민예총 조성칠 사무처장이 초청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