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갑문 추가 설치, 해수유통 등 충남 전북 협의가 과제

[천지일보=강수경 기자] 충남·전북권 전문가와 주민들이 금강하구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방안제시에 나섰다.

금강비전기획위원회(위원장 허재영)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금강관련단체 및 기관, 지역주민, 관공서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2일 금강하구역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현재 충남·전북은 강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기수역(하구역) 차단으로 발생하는 여러 문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생태계 순환 고리가 단절됐고, 수위 상승으로 홍수조절 기능 약화되는 등 지역 경제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 진단과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서 지역 전문가와 단체들은 배수갑문 추가 설치 및 해수유통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내놓았다.

충남발전연구원 정종관 연구원은 “금강 하구역의 생태적 건전성 회복을 위해서는 하구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기득 수리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대체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기능 하구역 시설물설치 및 시설개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전북대학교 손재권 교수는 전북의 금강하구역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금강호의 기능 및 수질 문제에 대해서 논란이 되는 사항에 대해 지적했다.

금강호의 수질 저하 문제에 대해서는 충남과 전북이 모두 공감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용태 부여군 개발위원장은 “금강하구역 건설 후 생활폐수가 쌓여 물이 오염됐다”며 “하구역의 일부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구역의 일부를 개방해서 해수유통을 시키면 심각하게 저하된 수질이 개선될 수 있다. 그 사례가 시화호다. 1994년 담수로호 건설된 시화호는 생활폐수 등을 감당치 못해 죽음의 호수로 변했다가 1996년 하수처리 시설을 증강하고 해수유통으로 수질이 좋아졌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해수유통시 일부 지역은 침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반대 의견도 나오고 있다.

군산상공회의소 심재왕 의원은 부여나 공주 지역의 금강 오염 원인에 대해 하구역을 막은 것보다 생활폐수의 처리 부족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따라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고 대도시 하수종말처리 시설을 증설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에 금강비전기획위원회 허재영 위원장은 여론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양 도의 여론 형성이 잘 되도록 합의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정리했다.

충남도 김종민 정무부지사는 “전라북도와 서로 입장을 존중하며 대화를 해서 문제를 풀어나가겠다”고 전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