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동 반지하 참사 추도회’
“‘반지하 참사’는 사회적 살해”
[천지일보=방은 기자] 지하방·옥탑방·고시원(지옥고) 폐지 및 공공임대주택 300만호 요구연대(요구연대)와 뜻을 함께한 11개 민간단체가 12일 오후 서울 관악구 ‘신림동 반지하 참사’ 현장 인근에서 추도회견을 갖고 정부에게 반지하 거주 공간은 본래의 용도인 창고로 돌려놓고 반지하 및 고시원 거주자용 공공임대주택 50만호 건설을 요구했다.
최창우 요구연대 대표는 “충분히 살릴 수 있었는데 소방 인력, 통신 인력 부족으로 구조하러 오지 않았다”며 “사회적 살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반지하는 집이 아니다”며 “살수록 건강이 악화되는 창고”라고 지적했다.
폭우가 쏟아진 지난 9일 새벽 홍모(47)씨는 신림동 반지하에서 발달장애가 있는 언니(48), 딸 황모(13)양과 함께 사망한 채로 발견됐다.
사고 당일 홍씨가 지인에게 구조 요청을 했지만, 소방당국이 도착했을 때는 이미 천장까지 물이 들어찬 상황이었다. 홍씨 가족이 참변을 당한 것은 반지하라는 열악한 주거 구조 형태와 발달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지원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최창우 대표는 “신림동이나 상도동처럼 단독 반지하 거주자는 장마지고 폭우가 쏟아지면 상시적으로 생명의 위협에 노출돼 있다”며 “침수 가능성이 높은 단지부터 폐쇄 조치하고, 거주자는 공공주택을 우선 공급하라”고 주장했다
또 “인천 구월동에서 96세의 노인이 물이 차올라 목숨을 잃은 지 불과 5년 전”이라며 “신림동 참사는 예견돼 있던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단순히 기후 위기 때문이 아니라 기후 위기에 맞게 대처하지 못한 대통령과 정부, 국회의 직무 유기이고 이것은 국가에 의한 명백한 사회적 살해 행위”라고 주장했다.
최 대표는 “정부는 소나기를 피한다는 마음으로 반지하 거주를 금지한다고 말해서는 반지하에 사는 거주민들만 더욱 불안하게 만든다”며 “정부의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