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0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최우수유럽영화상과 2011독일비평가 협회상 7개 부문 수상, 저먼필름 어워즈 2개 부문 수상, 2010 트라이베카 영화제 여우주연상. 세계 영화제에서 무려 35개 부문 수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은 그녀가 떠날 때는 모슬렘 여성에 가해지는 명예 살인을 소재로 삼았다. 명예 살인은 아랍권 또는 이슬람권 뉴스를 접할 때 심심치 않게 들린다...
열반송, 그리고 법어[글마루=김명화 기자] 성철스님은 숨을 거두기 직전 열반송을 남겼다. 하지만 열반송과 1987년 초파일에 설파한 법어는 많은 이들의 논란의 대상이 됐다. 열반송은 서두에서 제시했으므로 초파일 법어를 아래에 소개한다. 이 내용은 1987년 4월 23일 조선일보와 경향일보에 실려 언론에 화제가 됐다. 왜 성철스님은 중생들에게 이러한 법어를 ...
깨달음을 향한 구도의 길 [글마루=김명화 기자] 깨달음을 얻기 위한 정진에 혼신의 힘을 기울여라고 큰스님은 항상 말씀하셨지요. 이어 원택스님은 성철 스님의 주요 사상인 돈오돈수(頓悟頓修)에 관해 설명했다. 돈오는 단박에 깨닫는다는 말이고 돈수는 단박에 닦는다는 뜻. 즉,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은 곧바로 깨우쳐야 제대로 된 깨달음에 다다를 수 있다는 의미다...
깨달음을 향한 구도의 여정 [글마루=김명화 기자] 우리 시대 큰 어른 성철스님. 치열하다 못해 혹독한 참선 수행으로 참다운 구도자의 모범을 보여주셨던 큰스님은 1993년 11월, 중생들 곁을 떠나 열반에 들었다. 20년간 성철스님을 시봉(侍奉, 부모나 스승을 받들어 모심)했던 원택스님에게 큰스님의 참선과 법어, 그리고 삶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나의 스승, ...
▲ 임형진 교수(사진제공: 본인) 동학, 남북화해의 단초 [글마루=김명화 기자] 현재 한민족학회와 동학학회 연구이사며 고려대학교 정치학과 겸임교수인 임형진 교수를 만나 동학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임 교수는 동학을 다양한 각도에서 심도 있게 연구한 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동학의 평등주의 사상은 근대적 의미의 민권 사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수운 최제우 선생은 동학의 창도자다. 동학은 한국 민족 종교의 시발점이며 동학농민혁명의 근본 사상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수운 선생이 동학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이상사회는 현실에서 실현되는 새 세상이었다. 그의 표현대로 말하자면, 다시 개벽을 통해 인간평등을 이루어 낡은 선천세상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후천세상으로 회복하기를 꿈꿨던 것이다. 1894년...
―가톨릭 교리와 불교 교리는 어떤 점에서 다르다고 생각하십니까? 불교의 역사는 2500년이고 그리스도교의 역사는 약 2천 년입니다. 너무 방대해서 쉽게 말씀드리기 어려워요. 예전에는 무식의 용기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을 많이 했어요. 하지만 어느 정도 알기 시작하니 쉽게 말할 수가 없습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불교 안에서 이것을, 그리스도교에서 저것을 끄집어내...
불교와 열애 중인 캐나다 출신 신부 베르나르 스네칼[글마루=김명화 기자] 부처님을 만나신 예수 그리스도님. 제목부터 예사롭지 않은 이 책의 저자는 베르나르 스네칼 신부다. 한국에서는 그를 서명원 신부라고 부른다. 서 신부는 현재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23년 동안 불교의 진리를 탐구한 신실한 불자이기도 하다. 불교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
칼럼 조선왕조의 성군(聖君) 세종의 생애 고찰(18)
칼럼 김순덕 기자에게 수여한 ‘이육사 기자상’ 취소해야
칼럼 故 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 겸 대한체육회장을 국립묘지에 안장해야하는 이유
사설 민주당의 장외투쟁, ‘제2의 조국’ 사태 재판될 수 있다
천지시론 ‘한 사람(熙)’의 진심(眞心)이 일궈낸 민다나오 평화… ‘세계평화의 시금석(試金石)’ 되다
천지시론 지금은 형이상학(形而上學)적 차원의 시대…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은 이제 그만
천지시론 ‘천지분간’… 무지와 오해가 아닌 이해가 절실한 때
천지시론 정통(正統)과 이단(異端)… 심은 대로 거둔단 말이 옳도다
사설 쌍방울 800만 달러 대북송금 의혹… 이재명 변호사비 대납의혹보다 더 중대한 사안이다
사설 1월 무역적자 사상최대… 대응에 힘 모아야
사설 난방비 지원은 취약계층 중심으로 지원하라
칼럼 위기탈출(危機脫出)
[현대이야기<39>] 현대엘리베이터, 2030년 ‘매출 5조·글로벌 빅5’ 목표로 뛴다
[한국인 이만희 평화실화 FOCUS│HWPL평화사업-평화교육<1>] “HWPL 평화교육, 평화미래를 보다”… 글로벌 평화교육 발전 포럼
[특별기획-32차 평화순방②] 총성 멈춘 민다나오 “이만희 대표 공로로 평화가 찾아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