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용기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천지일보(뉴스천지)

“보호시설이 아닌 지역에서
형제와 이웃과 함께 살고파”

“동정 어린 일반인들의 시선
많은 사회활동으로 극복해야”

[천지일보=강은영 기자] “장애인도 동네에서 살고 싶습니다. 지역에서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구축돼야 합니다.”

제36회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장애인단체들이 장애인자립생활 보장을 촉구하며 거리로 나섰다. 지난달 29일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 장애인정책 및 예산 요구안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자치구 연속 투쟁 기자회견’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최용기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과 만나봤다.

다음은 최 회장과의 일문일답.

-‘복지시설이 더 편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

시설이라고 하는 것은 지역사회와 동떨어져 있다. 장애인도 지역 안에서, 자신이 살고 싶은 곳에서 형제와 이웃과 함께 살 수 있어야 한다. 모든 시설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언론보도 등을 통해 보는 것처럼 시설 내에서 인권유린, 노동착취, 성폭력 등의 일이 일어나는 등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장애인을 ‘수용해 보호해야 하는 개인’이라는 인식을 가져서는 안 된다.

-탈시설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장애는 영구적 손상이다. 노력한다고 해서 변하는 게 아니다. 장애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회 환경이 바뀌어야 한다. 내가 휠체어를 타고 있지만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있으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고 저상버스가 투입되면 버스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장애는 그대로 있지만 사회 환경이 바뀌면 장애인도 차별받지 않고 같이 호흡하면서 살아갈 수 있다. 일반인과 분리된 공간에서 교육을 받고 편의시설이 없다는 이유로 교육에서 배제되는 게 현실이다. 지역에서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구축돼야 한다. 장애인의 자유로운 활동을 위한 활동보조도 필요하다.

-장애인교육시설에 대한 지역주민 반대가 크다

님비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시설이 들어서면 땅값이 떨어지니 주민이 반발한다. 명백한 장애인차별이다. 정부 및 각 구청에서 지원하려고 해도 주민이 반대하면 어쩔 수 없는 문제다. 이로 인해 장애인과 일반인이 대립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요즘은 장애인이 살기 좋은 세상’이라는 말도 많이 한다. 그러나 일반인이 장애인을 보는 시선은 그냥 동정의 대상일 뿐이다. 나와 동등한 사람으로 보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장애인이 먼저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더 많은 활동을 해 보여야 한다.

-시민들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

마음만 앞서 동정으로 도움을 주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실례’고 ‘위험’이다. 장애인의 상황을 잘 모르고 도와주면 사고가 날 수 있다. 도움을 주고 싶다면 ‘어떻게 도와드릴까요?’라고 물어보고 도움의 손길을 건네는 것이 좋다.

-앞으로의 계획은.

장애인이 배제되지 않고 소외되지 않는 사회 환경을 만들기 위해 자치구뿐 아니라 중앙정부에도 요구할 것이다. 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는 장애인 권리보장법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 장애인 권리보장법 제정을 위해 활동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